겸임교수

이상호
- 계산인지모델링
- 심리학 기반 인공지능
- 실험 디자인 최적화
-
Education
The Ohio State University, Ph.D. in Psychology(2021)
-
Location
N4, 1311호
- Phone
-
Laboratory
KAIST Psychological AI Lab
Biosketch
- 이상호 교수는 인지심리학과 인공지능 방법론에 대한 전문성을 기반으로 인간에 대한 이론과 인공지능 기술을 융합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인지과학자이다. 현재 카이스트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조교수 및 뇌인지과학과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.
- 고려대학교 심리학과에서 학사, 석사 학위를 마치며 인지심리학과 실험방법론에 대한 지식을 쌓았고, 미국 오하이오주립대에서 응용통계학 석사, 인지심리학 박사를 취득하며 계산인지모델링과 인공지능 방법론에 대한 전문성을 키웠다.
- 이상호 교수의 목표는 심리학과 인공지능이 서로를 계속해서 발전시키는 선순환을 구축하는 것으로,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. 한 가지 방향은 인공지능 기반 심리학으로, 최근 사람처럼 기능하기 시작한 인공지능 모델을 인간의 인지, 행동, 뇌반응을 설명하기 위한 인지 모델로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. 또 한 가지 방향은 심리학 기반 인공지능으로, 인지심리학 이론에 근거해 개발한 계산인지모델을 인공지능 모델과 융합하여 보다 사람과 비슷하게 정보를 처리하고 행동하는 인공지능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.
Key Papers
- Lee, S. H., Song, M. S., Oh, M. H., & Ahn, W. Y. (2024). Bridging the gap between self-report and behavioral laboratory measures: A real-time driving task with inverse reinforcement learning. Psychological Science, 35(4), 345-357.
- Lee, S. H., & Pitt, M. A. (2024). Implementation of an online spacing flanker task and evaluation of its test-retest reliability using measures of inhibitory control and the distribution of spatial attention. Behavior Research Methods, 1-12.
- Lee, S. H., Kim, D., Opfer, J. E., Pitt, M. A., & Myung, J. I. (2022). A number-line task with a Bayesian active learning algorithm provides insights into the development of non-symbolic number estimation. Psychonomic Bulletin & Review, 1-14.
- Lee, S. H., & Pitt, M. A. (2022). Individual differences in selective attention reveal the nonmonotonicity of visual spatial attention and its association with working memory capacity.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. General, 151(4), 749-762.
Courses
- HSS333 심리학 특강 <인공지능 시대의 심리학>
- HSS322 심리학적 데이터 기반 계산인지모델링
- HSS552 디지털인문학특강<계산모델링과 데이터 분석을 위한 베이지안 통계>